스탯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STAT Project
3 min readJun 16, 2021

--

안녕하세요, 스탯 프로젝트입니다.

저희는 소셜트레이딩과 NFT를 접목한, ‘트레이더 NFT 플랫폼’을 만들고 있습니다.

소셜트레이딩은 다른 사람들과 투자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고 이를 중요한 투자 판단의 근거로 삼는 투자 방식을 말하는데요. 세계 최대 소셜트레이딩 플랫폼인 ‘이토로(eToro)’의 평가가치는 10조원에 달한다고 알려져있죠. 국내에서는 ‘증권플러스’가 유명하고, 또 최근에는 제도권 증권사까지 투자 인사이트 플랫폼을 내놓아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의 합병을 통해 뉴욕 증시 우회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이토로.

하지만 현재의 소셜트레이딩 산업은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극소수의 스타플레이어와 플랫폼에만 이익이 집중되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죠. 소셜트레이딩 산업은 어느새 수십조 단위의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여전히 극소수의 스타플레이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트레이더들에겐 합당한 보상이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대로라면 소셜트레이딩의 순기능이 퇴색될 것이라는 위기의식에서 스탯 프로젝트는 출발했습니다.

우리는 그 해답을 대체불가능한 토큰, 즉 NFT에서 찾았습니다. 특정 트레이더의 매매내역을 구독할 수 있는 ‘카드’를 만들고 이 카드를 분양해 트레이더와 구독자가 함께 win-win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

트레이더들은 스탯을 통해 자신의 매매내역이 담긴 ‘(한정판) 트레이더 카드’를 발행해 분양(판매)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발행된 트레이더 카드는 골프장 회원권처럼 소유한 사람에게 해당 트레이더의 매매내역 구독 권리를 줍니다. 다른 사람과 거래도 가능하죠.

이를 통해 트레이더들은 구독자의 지지를 받는 만큼 보상을 가져갈 수 있게 되고, 구독자들도 트레이더의 성과에 따라 자신이 보유한 트레이더 카드의 가치가 상승해 혜택을 봅니다. 스탯의 모든 카드는 카카오톡 내 ‘클립’ 안에서 안전하게 관리됩니다.

스탯은 또 이러한 ‘선순환 구조 만들기’와 더불어 ‘트레이더의 신뢰성 회복’을 위한 환경 조성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트레이더의 대부분은 신원 인증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죠.

또 소수 스타플레이어를 제외하고는 과거 이력이나 실명 여부 등을 알 수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정체가 불분명한 트레이더와 잘못 엮이게 된다면 향후 가상자산 시장 제도화 시 법적인 문제를 겪게 되거나, 최악의 경우 사기를 당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스탯은 ‘인포 카드’라는 것을 만들어 특정 트레이더의 트레이딩과 교육, 신용 이력 등을 담아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입니다. 인포카드는 트레이더의 신분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다음 시간에는 트레이더 카드와 인포 카드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스탯 공식 홈페이지: STAT — 스탯 | 스탯코인, 스탯토큰 (statproject.io)

--

--

STAT Project
STAT Project

Written by STAT Project

트레이더 NFT 플랫폼 ‘스탯(STAT)’의 공식 계정입니다. statproject.io

No responses yet